오늘(31일) 새벽 북한이 '우주 발사체'를 쏜 직후, 새벽잠 설친 시민들 많으실 겁니다.
백령도에선 주민들이 긴급 대피에 나섰고, 서울 전역에서도 재난 문자와 사이렌 소리에 전쟁이 난 건 아닌지 가슴을 졸여야 했습니다.
주요 포털도 한때 접속이 어려울 정도로 30분 넘게 말 그대로 대혼란 상황이 이어졌는데요.
정작 행정안전부와 서울시는 이 경보가 '오발령'인지, 아닌지를 놓고도,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습니다.
사회부 김태원 기자와 함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
안녕하세요. 먼저 백령도 상황부터 알아보겠습니다.
지금은 경계경보가 해제된 거죠?
[기자]
네, 오늘 새벽 6시 29분에 북한의 우주발사체 발사가 이뤄지면서, 우리 서해 최북단 지역인 백령도에 경계경보가 발령됐는데요,
이후, 1시간 반 만인 아침 8시 1분에 경보는 모두 해제됐습니다.
경계경보는 화생방무기를 포함한 적 항공기·유도탄이나 지상·해상 전력에 의한 공격이 예상될 때 발령됩니다.
당시 백령면사무소는 대피소 20여 곳의 문을 열고 마을 방송을 통해 주민들에게 몸을 피하라고 전파했는데요,
한 백령도 주민은 YTN과의 통화에서 경보 발령 직후 상황에 많이 놀라기는 했다면서도, 대피는 신속하게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.
직접 들어보시죠,
[김진수 / YTN 백령도 통신원 : 주민들 대피하라고, 실제 상황이라고 위성 발사체 때문에 실제 상황이라고 통보를 받고 방송을 듣고 사이렌을 계속 울리는 상태죠. 조업 나간 배들한테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라고 이렇게 문자도 받고….]
네, 그런데 서울시에서도 이때 실제상황이라면서 시민 대피 문자를 보냈는데요,
아침 시간대라 출근길과 등굣길에 나선 시민들이 많이 놀랐을 것 같습니다. 분위기 어땠습니까?
[기자]
네, 서울시는 오늘 아침 6시 41분쯤 경계경보 위급재난 문자를 보냈는데요,
이 문자에는 오늘 아침 6시 32분 서울에 경계경보가 발령됐다며, 시민들에게 대피를 준비하고, 어린이와 노약자가 먼저 대피할 수 있게 해달라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
저희 취재진이 오늘 아침 출근길과 등굣길을 오가는 시민들을 만나, 경보가 발령될 당시 상황을 물어봤는데요,
평소처럼 출근을 준비하다가 갑자기 울리는 경보에 전쟁이라도 난 건 아닌지 걱정하면서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고 합니다.
[임재영 / 경기 용인시 : 긴... (중략)
YTN 김태원 ([email protected])
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5311710165513
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[email protected], #2424
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
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